728x90
반응형
자료구조 (Data Structures)
배열 (Array)
- 동일한 자료형의 원소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자료 구조
- 인덱스를 통한 빠른 접근, 메모리 공간 효율성
연결 리스트 (Linked List)
- 각 노드가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이어진 자료 구조
-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빈번한 경우, 메모리 동적 할당
스택 (Stack)과 큐 (Queue)
- 스택 : 후입선출 구조 (LIFO), 함수 호출
- 큐 : 선입선출 구조 (FIFO), 자원 예약, 작업 대기열
트리 (Tree)와 그래프 (Graph)
- 트리 : 계층적 구조로 노드가 부모-자식 관계를 가짐, 디렉토리 구조
- 그래프 :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비순환적인 자료 구조, 네트워크, 지도 등
알고리즘 (Algorithms)
탐색 알고리즘
- 선형 탐색 (Linear Search) : 순차적으로 원소를 비교하여 찾는 방법
- 이진 탐색 (Binary Search) : 정렬된 배열에서 중간 값을 비교하여 범위를 반으로 줄여가며 찾는 방법
정렬 알고리즘
- 버블 정렬 (Bubble Sort) : 인접한 원소를 비교하여 정렬하는 방법
- 퀵 정렬 (Quick Sort) : 피벗을 기준으로 작은 값은 왼쪽, 큰 값은 오른쪽으로 분할하여 정렬하는 방법
- 병합 정렬 (Merge Sort) : 배열을 반으로 나누어 각각 정렬하고 병합하는 방법
탐욕 알고리즘 (Greedly Algorithm)
- 각 단계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는 알고리즘
- 최소 신장 트리 (Minimum Spanning Tree), 최단 경로 등
다이나믹 프로그래밍 (Dynamic Programming)
- 작은 부분 문제의 해결을 통해 전체 문제의 해결을 구하는 알고리즘
- 피보나치 수열, 최장 공통 부분 수열 (LCS) 등
탐색 알고리즘
- DFS (깊이 우선 탐색) : 깊이를 우선으로 하여 그래프나 트리를 탐색하는 방법
- BFS (너비 우선 탐색) : 너비를 우선으로 하여 그래프나 트리를 탐색하는 방법
728x90
반응형
'Yeoni Blog > 👩🏻💻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분산 시스템(Distributed System)의 개념과 종류 및 특징 요약 정리✍🏻 (1) | 2024.01.21 |
|---|---|
| 마이크로 서비스(Microservices)의 개념과 종류 및 특징 요약 정리✍🏻 (0) | 2024.01.21 |
| [Web] 웹 보안이란? 웹 보안의 종류와 개념 및 특징 요약 정리✍🏻 (0) | 2024.01.21 |
| [API] RESTful API 주요 개념 및 특징 요약 정리✍🏻 (0) | 2024.01.21 |
| [Database] NoSQL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쿼리 언어 종류와 특징 요약 정리✍🏻 (1) | 2024.01.21 |